2014년 대한민국 지역사회복지대상 광주광역시 서구, 최고의 대상기관 선정 !! | |
![]() | |
주민 중심의 촘촘한 복지안전망 서구민한가족 나눔운동 인정받아
‘대한민국 지역사회 복지대상’은 지역주민들에게 우수한 평가를 받는 복지사업을 발굴해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 지역사회중심의 생활밀착형 복지사업을 확산시키기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 서구는 사람중심의 촘촘한 복지안전망을 구축해 지역사회 민․관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전국 228개 자치단체 중 대상을 차지했다. 특히, 나눔나눔문화 확산과 주민참여형 복지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협의체 내 후원자 그룹인 “한가족 나눔분과”를 구성․운영하여 지역자원과 연계해 다양한 지역공동문제 해결사업을 추진하는 등 새로운 복지패러다임을 구축했다는 평이다. 서구는 지역공동 문제해결을 위한 희망플러스 10대사업과 1996년부터 이어온 서구민한가족 1:1 결연사업,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서민생활도우미제 등 다양한 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서구는 복지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들이 욕구에 맞는 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체계도 갖추고 있다. 공적부조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의 다양한 복지문제를 주민들이 함께 해결해 나가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어 전국에서도 매우 모범적인 민-관협력사업으로 호평받았다. 경제적 문제가 있는 가정은 서구민한가족 1:1결연사업, 생활하는데 불편한 경우 서민생활도우미제,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희망플러스 소원성취, 창업지원, 찬나눔, 인재육성, 주거환경개선사업 등 10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3번째로 열리는 대한민국 지역사회복지대상 시상식은 오는 28일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임우진 서구청장은 “그동안 서구에서는 민․관이 하나가 되어 지역사회 복지공동체를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여 이렇게 좋은 결과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앞으로도 우리 구에서는 이웃이 이웃을 돕는 주민 자율의 복지공동체를 더욱 활발하게 구성하여 전국에서 가장 살기좋은 마을을 만들어 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
2014년 11월 25일 화요일
2014년 대한민국 지역사회복지대상 광주광역시 서구, 최고의 대상기관 선정 !!
2014년 9월 17일 수요일
광주광역시 남구, ‘2014 대한민국 도시대상’ 선도사례 선정
광주광역시 남구, ‘2014 대한민국 도시대상’ 선도사례 선정 |
향후 국토부 공모사업 응모시 가점 인센티브
대한민국 도시대상은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쾌적한 도시 조성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을 권장하고, 도시행정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남구는 이번 평가에서 선도사례 부문 마을만들기 분야에 ‘노대실이 북적Book積 인문이 싹트는 송화마을’ 공모안을 제출,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번 평가는 1차 서류심사와 2차 현장 실사 등 2단계 평가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평가지표는 ▲지속가능성 ▲효율성 ▲쾌적성 ▲창조성 ▲실행성 등 5가지였다. 남구는 2007년 노대동 택지지구 개발 이후 새로운 주민 유입으로 지역 공동체 의식이 미흡하고, 유대감 부족으로 원주민과 새로운 주민간 갈등이 빈번해지자 마을공동체 사업을 줄기차게 펼쳐왔으며, 국토교통부는 남구의 이같은 마을만들기 사업을 선도사례로 선정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노대동에서 주민들이 주도하는 마을음악회가 정기적으로 열리고, 마을신문 발간 및 인문학당 개설, 인문학 거리 조성, 솔숲 학교 등이 운영되는 등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이 연계를 통해 새로운 롤 모델을 만든 사례에 해당된다고 평가했다. 대한민국 도시대상 국토교통부 장관상 수상으로 남구는 장관상 수상과 함께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하는 각종 공모사업에서 우수지자체로 분류돼 가점 부여 등의 인센티브를 받게 되어 앞으로 국토교통부 주관 공모사업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최영호 남구청장은 “우리지역 사례 뿐만 아니라 타 지역의 더 많은 선진 사례와 정보를 수집해 남구만의 특색 있는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면서 “문화와 교육이 숨쉬는 건강한 도시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상식은 오는 10월 8일 경기도 수원시 청소년문화센터에서 열린다. |